직장에 들어가서 첫 월급을 받은 날 적금 통장을 2개 만들었습니다. 하나는 회사와 연결된 공제회 계좌였고, 하나는 시중은행 2년 만기 적금통장이었습니다. 적금을 통해 몇 년 동안 돈을 계속 모을 수 있었지만 돈이 불어나지는 않았습니다. 저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돈을 불리기 위해 선택하는 방법이 바로 저축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만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왜 그런지 이유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돈의 가치 하락
저축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선택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이자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됩니다. 저축의 기간이 짧게 1~2년이면 큰 상관이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물가 상승으로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데 은행의 이자는 이 속도를 따라가지 못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저축만으로는 돈의 가치를 유지하거나 늘리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을 하면서 우리는 물건과 서비스를 더 많은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합니다. 짜장면 가격이나 과자 가격이 10년 간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주택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은 부동산 시장에서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주택 가격이 상승할 때 부동산 시장에서 인플레이션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몇 년 전에는 동일한 지역의 주택이 상대적으로 저렴했지만, 인플레이션으로 주택 가격이 상승해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주택을 건설하는 데 들어가는 원자잿값과 인건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 지어지는 아파트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합니다.
소비 물가 상승
우리가 사용하는 물품의 소비재의 가격도 높아집니다. 식료품, 연료, 의류 등과 같은 소비재 가격이 상승하면 우리는 동일한 양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더 많은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은 우리들에게 더 많은 수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인건비 상승
마찬가지로 인건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회사는 노동력 및 생산품의 비용이 증가하는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는 기업들이 더 많은 비용을 감당하고 그만큼 가격을 올려 소비자에게 전가하려는 경향이 있어 인건비를 상승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저축만으로는 인플레이션 앞에서 돈의 가치를 유지하기가 힘듭니다. 저축만으로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돈의 가치를 지키는 방법은 수입을 폭발적으로 늘려 그만큼 저축액을 늘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월급이 정해진 직장인들은 수입을 폭발적으로 늘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에 따른 화폐의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선 화폐를 자산으로 바꾸고 가치의 상승을 노려야 합니다. 즉 투자가 필요하다는 얘기입니다. 주식, 부동산, 채권 등 다양한 투자 옵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저 또한 그동안 모은 돈으로 떨어지지 않는 자산을 사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돈을 모으는 동안 주식과 부동산 자산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모은 돈과 돈을 모으는 동안 공부한 내용을 통해 주식을 시작하고, 부동산을 매입했습니다. 제 월급은 크게 오르지 않았지만 제 자산은 월급이 오르는 속도보다는 훨씬 큰 폭으로 움직였습니다. 저축은 투자를 위한 초기 자본, 즉 시드머니를 모으기에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제는 과거처럼 예금 금리만으로 10%가 넘는 이자를 받기 힘듭니다. 인플레이션으로 화폐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고 자산의 가치는 등락을 반복하지만 결국은 계속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
저축을 통해 돈을 모으고 그 돈으로 가치가 상승할 수 있는 자산을 구입해 화폐 가치 하락을 방어해야 합니다. 저축의 기간 동안은 무조건 자산을 불릴 수 있는 공부를 하길 바랍니다. 자산은 우리들 스스로가 지키는 것입니다. 지속적인 경제 공부와 금융 시장의 동향을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부의 증가에 도움이 됩니다. 우리의 부가 증가하는 결정적인 역할은 지속적인 노력과 열정이 핵심입니다. 저축으로 시드를 모으고, 모은 돈으로 앞으로 높아질 가치를 가진 자산을 구입하길 바랍니다.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가 감소하면 부동산 가격은 하락할까? (0) | 2023.12.13 |
---|---|
채권 투자 안전하다고 하는데 괜찮을까? (0) | 2023.12.12 |
가상 자산의 등장 : 암호 화폐로 바뀌는 금융 환경 (0) | 2023.12.11 |
고금리 상황에서 주식투자는 왜 힘들까? (0) | 2023.12.10 |
부동산 투자 VS 주식 투자 당신의 선택은?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