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돈 못 버는 원인 : 자본주의 시장에 뛰어들어라

by 하이미래 2024. 1. 7.
반응형

돈은 우리 삶의 중심에 있습니다. 최근 한 리서치 센터에서 진행한 설문조사가 있습니다. 17개 나라, 19만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삶에 가장 중요한 가치'를 묻는 질문에 한국은 17개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돈'이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답변했다고 합니다. 우리의 삶에 '돈'이라는 것이 굉장히 크게 작용하는 지표가 아닐까 싶습니다. 누구나 돈을 많이 벌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돈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죠. 돈이 부족해 항상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분이 돈을 벌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를 몇가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1. 잘못된 소비 문화

사람들은 소비를 통해 행복을 얻으려고 합니다. 일상에서 퍼져있는 광고와 SNS를 통해 우리 삶은 무의식적인 소비 문화가 자리잡았습니다. 나에게 필요를 위한 소비 보다는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소비 욕구, 남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만족감을 추구하는 결과입니다. 소유하고 있는 것이 행복이라는 착각이 우리에게 잘못된 소비 습관에 길들이게 합니다. 그에 맞는 소비를 위해서는 돈이 필요한데, 계속 무엇인가를 소유하고 싶은 마음은 채워지지 않으니 돈이 부족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본인의 소비습관을 정밀하게 분석해보고 나에게 정말 필요한 소비와 무의식적인 소비가 있었는지를 확인해봐야 합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는 책을 추천해주고 싶습니다.

 

2. 돈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는 태도

요새는 현금을 들고다니지 않습니다.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은 핸드폰에 카드를 넣는 Pay 결제도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실제 '돈'이라는 것이 눈에 보이지도 않고 통장이나 핸드폰에 찍힌 숫자로만 나타납니다. 돈에 대해 무감각해지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특히, 신용카드의 무분별한 사용이 미래의 돈을 끌어다 쓰게되면서 막대한 부채를 부담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돈'에 대한 명확한 가치를 이해하고 본인의 자산 형태를 명확히 분석해야 합니다. 가계부 등을 통해 자신의 소득의 수입과 지출을 명확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내가 가진 돈의 실체를 느끼는 것이 중요하고 이것을 통해 소비의 경제적 책임과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면 좋습니다.

 

3. 자본주의 교육의 부재

우리는 대부분 제대로된 경제 교육을 받지 못했습니다. 단순히 노동을 통해서 돈을 벌고, 그 돈을 소비하는 것을 끝으로 살아온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본주의 시장을 이해하는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롭 무어의 <레버리지>에서 나왔듯이 부의 80%는 20%의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불공평이라고 생각했다면 자본주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사람입니다. 불공평이라고 생각하기보다 현실을 극복하려는 생각을 해야합니다.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와 공부가 필요합니다. 노동의 가치는 신성하고 노동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일 평생을 책임져주지 못한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자산으로 변환시키는 자본주의 공부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4. 멘탈의 중요성

돈을 벌겠다고 마음을 먹었지만 돈을 벌지 못하는 근원적인 이유가 바로 멘탈 관리 입니다. 돈을 벌기 위한 행동을 실행하는 것이 가장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편한 것을 추구하는 본능적인 욕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틀을 깨기 위해선 굉장한 노력과 자기관리가 필요합니다. 보통은 내가 하지 말아야할 이유부터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실행에 필요한 한 두가지 이유만 찾고 그에 맞는 상황을 만드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한 동기부여를 찾고 실행해 옮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상황 해결 능력 부족

돈을 벌기 위해선 당장 눈 앞에 닥친 경제적인 어려움, 불균형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시장의 상황은 내가 열심히 한대로 흘러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제적인 분쟁으로 공급망이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것은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상황이 최악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내가 할 수 있는 부분에 최선을 다해 상황을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어려움에 직면하면 포기하고, 그만둡니다. 그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해 여러가지 위험을 가정하고 유동적인 계획과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